한게임바둑이추천 ┹ 최신게임 ┹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작성일25-07-10 21:01 조회16회 댓글0건관련링크
-
http://34.rzp621.top 9회 연결
-
http://77.rgb342.top 3회 연결
본문
놀이터 릴박스 ┹ 슬롯총판 ┹? 35.rtt469.top ╅타향살이 유물들이 ‘품은 사연’을 풀면… 박물관이 살아난다
그래픽/박성현기자 pssh0911@kyeongin.com
인천 연수구 옥련동 인천시립박물관 기획전시실에 또 하나의 시립박물관이 차려졌다. 중구 자유공원 아래 제물포구락부 시절 옛 시립박물관의 정문 모습이다. 그때의 옛 간판도 걸었다.
시립박물관의 오래된 유물들이 모처럼 옛 박물관 안으로 모였다. 오래도록 시립박물관에 머물며 박물관 터줏대감이 된 유물도 있고, 비교적 최근에서야 들어온 신참도 있다.
이들 유물은 내달 10일까지 개최되는야마토2 pc버전
시립박물관 기획특별전 ‘우리 박물관의 기구한 손님들’의 하나로, 한자리에 모였다.
인천시립박물관 기획특별전 ‘우리 박물관의 기구한 손님들’ 전시장 입구. 현 제물포구락부가 시립박물관이던 시절 박물관 입구 모습을 재현했으며, 입구에 들어서자마자 ‘시베리아 매머드 어금니’(사금빛나매매방법
진 가운데)를 만날 수 있다. /인천시립박물관 제공
박물관에 머무는 유물 중 어느 하나 사연 없는 것이 없으랴마는, 이번에 모인 것들은 조금 더 특별하고 기구한 사연을 품고 있다. 대부분 인천 밖에서 박물관으로 들어온 유물이다. 개항, 청일전쟁, 러일전쟁, 일제강점기, 태평양전쟁(2차 세계대전),인터넷으로주식거래
한국전쟁, 산업화와 민주화를 거치며 자의든 타의든 원래 있어야 할 고향으로 가지 않고 인천에 눌러앉은 것들이다.
오전 9시 시립박물관이 문을 열기 전, 관람객을 맞을 준비에 한창인 유물들이 각자 사연을 털어놓기 시작한다. 마치 ‘기구한 사연 콘테스트’에 참가하는 것처럼. 이들의 사연에 귀를 기울여 보자.
■ 시베리아 매손오공게임
머드 어금니 화석
“내 고향은 시베리아, 패전 일본군이 두고 갔지요”
마스코트에서 수장고로… 부식 진행 복제품 전시
인천시립박물관 기획특별전 ‘우리 박물관의 기구한 손님들’에 한화케미칼목표가
전시된 시베리아 매머드 어금니 복제본. 2025.7.4 /박경호기자 pkhh@kyeongin.com
나는 5만년 전 유라시아 대륙에 살았던 매머드의 어금니. 시립박물관의 가장 어른이요. 시베리아가 내 고향이지. 왜 뜬금없이 시베리아 매머드 상아가 인천에 있느냐고? 사연은 이렇다오. 대륙을 침략했던 일본군이 시베리아에서 매머드 상아를 수집해 자기네 나라로 가져가려고 인천의 항구 쪽 창고(북성동 소재)에 보관했었소. 그런데 2차 세계대전에서 패전한 일본군이 본국으로 철수하면서 나를 두고 갔지요. 내가 있던 창고에 불이 나면서 경찰이 나를 발견해 시립박물관에 맡긴 것이오.
새집을 찾게 된 나는 오랫동안 박물관의 마스코트처럼 좋은 자리에 전시됐소. 매머드 상아는 한국에선 보기 드문 유물이거든. 2004년까지 누구나 볼 수 있도록 전시됐는데, 부식되기 시작하면서 지금은 수장고로 들어갔지요. 지금도 나를 추억하는 나이 드신 인천시민은 박물관 데스크에서 내가 어디에 있느냐고 묻곤 한답니다. 실은 이번 기획특별전에 전시된 나는 지난해 박물관이 복제한 복제품이라오. 진짜 나는 보존 처리돼 수장고에 있어요.
■ 중국 청동 향로와 철제 범종들
“중국에서 공출해 부평으로… 하마터면 무기 될뻔”
캠프마켓서 발견된 큰 덩치 범종 삼형제 야외 전시
인천시립박물관 야외 전시장에 놓인 송대, 원대, 명대 철제 범종. 시립박물관 기획특별전의 핵심 유물이나, 규모가 워낙 커서 전시장에 들이지 못했다. 2025.7.4 /박경호기자 pkhh@kyeongin.com
나는 17세기 청나라 때 중국에서 만들어진 청동 향로입니다. 이렇게 큰 향로 어디서 봤습니까. 이 전시실이 비좁다 보니, 나보다 훨씬 크고 오래된 송나라, 원나라(1298년), 명나라(1638년) 때 철제 범종 삼형제는 박물관 야외 전시장에 서 있습니다. 철제 범종 3개 가운데 가장 큰 것이 높이만 2.5m, 직경은 1.5m에 달합니다.
이경성(1919~2009) 초대 시립박물관장이 부평 일본육군조병창(현 캠프마켓)에서 나와 범종 삼형제를 발견했습니다. 조병창은 일본군의 대규모 군수공장이었습니다. 일본군은 멀리 중국에서 나를 강제로 공출해 부평으로 옮겨왔습니다. 나를 녹여서 무기로 만드려고요. 하마터면 무기가 돼 전쟁터로 내몰릴 뻔했습니다. 나 또한 일본이 패망하면서 그대로 조병창에 방치됐습니다. 본래 중국 소유지만 일본군에게 빼앗겼다가 다시 한국의 인천에 남겨졌으니, 이보다 기구한 사연이 있을까요.
■ 러시아 추앙받는 바랴크호 깃발
“전리품서 신분 역전…러시아로 순회 전시 다녔죠”
러일전쟁 패배 침몰한 전함 노·포탄피와 공동생활
인천시립박물관 기획특별전 ‘우리 박물관의 기구한 손님들’에 전시된 바랴크호 깃발. 2025.7.4 /박경호기자 pkhh@kyeongin.com
나로 말할 것 같으면 러시아에서 영웅으로 대접받는 바랴크호 깃발입니다. 러시아 영웅은 또 왜 인천에 머물고 있느냐고요? 나는 본래 러시아 순양함 ‘바랴크호’에 꽂힌 가로 2.5m, 세로 2m 크기의 깃발이었습니다. 러일전쟁의 첫 전투(제물포해전)가 1904년 2월 인천 제물포 앞바다에서 일어났죠. 당시 러시아 군함 카레예츠호와 바랴크호가 영흥도와 무의도 일대에서 일본 군함 14척과 교전을 벌이다 패했습니다. 러시아군은 일본군에 항복하지 않고 바랴크호를 비롯한 자국 군함과 상선을 스스로 침몰시켰어요.
일본군이 나를 건져 자유공원 인근 인천향토관에 전시하다 해방 이후 시립박물관으로 옮겨졌습니다. 전함에서 쓰던 노와 포탄피도 함께 박물관으로 왔죠. 일제강점기에는 일본의 전리품에 불과했는데, 해방 이후엔 신분이 역전됐습니다. 러시아에서는 지난 2010년부터 2014년까지 시립박물관으로부터 나를 임차해 자국에서 순회 전시를 열었습니다. 물론 한국 입장에선 앞마당을 다른 나라의 전쟁터로 내어 줄 수밖에 없었던 아픈 역사이기도 합니다.
■ 북관대첩비 탁본
“대첩비, 야스쿠니신사에 갇혀 100년간 화나는 삶”
日로 반출될때 뜬 탁본… 비석은 길주로 돌아가
인천시립박물관 기획특별전 ‘우리 박물관의 기구한 손님들’에 전시된 북관대첩비 탁본. 2025.7.4 /박경호기자 pkhh@kyeongin.com
내 경우는 앞선 유물들과 정반대네요. 나는 함경도 길주 ‘북관대첩비’(北關大捷碑)의 탁본입니다. 북관대첩비는 임진왜란 때 함경북도 북평사였던 정문부(1565~1624) 장군이 의병을 모아 가토 기요마사(1562~1611)가 이끄는 왜군을 물리친 공을 기려 1709년 숙종 때 세운 전승비입니다. 1905년 러일전쟁 때 일본이 일본군의 사기 저하를 우려해 비석을 철거하고 일본으로 반출했습니다. 북관대첩비는 일본 군국주의의 상징인 야스쿠니신사에 100여년 동안 갇혀 있었죠. 참으로 화가 나는 일입니다.
다행히도 한국 정부의 반환 요구로 2005년 10월 북관대첩비는 우리 품으로 돌아왔습니다. 비석은 그해 국립중앙박물관,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전시됐다가 이듬해 3월 다시 길주(현 북한 김책시)로 귀향했습니다. 나는 러일전쟁 당시 비석이 일본으로 반출될 때 뜬 탁본입니다. 결국 비석은 길주로 돌아갔고, 탁본인 나는 남아서 인천에서 시민들을 만나고 있네요.
■ 한국 근현대사 집약된 박물관
“이경성 초대 관장이 해방 직후 자유공원옆 조성… 내년엔 80살이라구”
인천시립박물관 기획특별전 ‘우리 박물관의 기구한 손님들’ 전시장 모습. /인천시립박물관 제공
에헴, 나는 자네들을 품고 있는 시립박물관이라네. 우리나라 최초의 공립박물관인 만큼 나도 사연이 많지. 이경성 초대 관장께서 해방 직후인 1946년 4월 자유공원 옆 근사한 서양식 건축물이었던 세창양행 사택(인천향토관)을 시립박물관으로 조성했지. 철제 범종을 비롯한 다양한 유물을 수집하기도 했고.
안타깝게도 나는 한국전쟁 때 폭격으로 산산이 부서졌고, 1953년에야 인근에 있는 제물포구락부로 옮길 수 있었다네. 이경성 관장이 유물을 안전하게 옮겨 놓은 덕분에 대부분 유물은 자네들처럼 온전하게 남을 수 있었지. 1990년 5월 지금의 옥련동에 번듯한 현대식 건물을 짓고 이사했고, 내년이면 벌써 내가 태어난 지 80년이 되는 해라네.
자네들의 사연을 쭉 들어보니, 근현대사 속 인천은 참 파란만장한 도시였구려. 매머드 어금니, 중국 철제 범종, 러시아 군함 깃발까지 별의별 유물들이 다 있는 그 자체가 바로 다른 도시와는 다른 인천의 특성이라 할 수 있다는 것이지. 자네들이야말로 인천과 한국, 동아시아가 걸어온 곡절 많은 역사의 증거라네. 자, 이제 개관 시간이 다 됐네. 마침 여름 방학이 찾아와 학생들도 많이 방문할 텐데, 자네들의 사연으로 이 도시의 역사를 잘 설명해 보게나. 이제 박물관의 문을 열겠네.
※ 인천시립박물관 기획특별전 ‘우리 박물관의 기구한 손님들’ 현장 취재와 자료 조사를 바탕으로 이야기 형식으로 재구성한 기사입니다.
/박경호 기자 pkhh@kyeongin.com
그래픽/박성현기자 pssh0911@kyeongin.com
인천 연수구 옥련동 인천시립박물관 기획전시실에 또 하나의 시립박물관이 차려졌다. 중구 자유공원 아래 제물포구락부 시절 옛 시립박물관의 정문 모습이다. 그때의 옛 간판도 걸었다.
시립박물관의 오래된 유물들이 모처럼 옛 박물관 안으로 모였다. 오래도록 시립박물관에 머물며 박물관 터줏대감이 된 유물도 있고, 비교적 최근에서야 들어온 신참도 있다.
이들 유물은 내달 10일까지 개최되는야마토2 pc버전
시립박물관 기획특별전 ‘우리 박물관의 기구한 손님들’의 하나로, 한자리에 모였다.
인천시립박물관 기획특별전 ‘우리 박물관의 기구한 손님들’ 전시장 입구. 현 제물포구락부가 시립박물관이던 시절 박물관 입구 모습을 재현했으며, 입구에 들어서자마자 ‘시베리아 매머드 어금니’(사금빛나매매방법
진 가운데)를 만날 수 있다. /인천시립박물관 제공
박물관에 머무는 유물 중 어느 하나 사연 없는 것이 없으랴마는, 이번에 모인 것들은 조금 더 특별하고 기구한 사연을 품고 있다. 대부분 인천 밖에서 박물관으로 들어온 유물이다. 개항, 청일전쟁, 러일전쟁, 일제강점기, 태평양전쟁(2차 세계대전),인터넷으로주식거래
한국전쟁, 산업화와 민주화를 거치며 자의든 타의든 원래 있어야 할 고향으로 가지 않고 인천에 눌러앉은 것들이다.
오전 9시 시립박물관이 문을 열기 전, 관람객을 맞을 준비에 한창인 유물들이 각자 사연을 털어놓기 시작한다. 마치 ‘기구한 사연 콘테스트’에 참가하는 것처럼. 이들의 사연에 귀를 기울여 보자.
■ 시베리아 매손오공게임
머드 어금니 화석
“내 고향은 시베리아, 패전 일본군이 두고 갔지요”
마스코트에서 수장고로… 부식 진행 복제품 전시
인천시립박물관 기획특별전 ‘우리 박물관의 기구한 손님들’에 한화케미칼목표가
전시된 시베리아 매머드 어금니 복제본. 2025.7.4 /박경호기자 pkhh@kyeongin.com
나는 5만년 전 유라시아 대륙에 살았던 매머드의 어금니. 시립박물관의 가장 어른이요. 시베리아가 내 고향이지. 왜 뜬금없이 시베리아 매머드 상아가 인천에 있느냐고? 사연은 이렇다오. 대륙을 침략했던 일본군이 시베리아에서 매머드 상아를 수집해 자기네 나라로 가져가려고 인천의 항구 쪽 창고(북성동 소재)에 보관했었소. 그런데 2차 세계대전에서 패전한 일본군이 본국으로 철수하면서 나를 두고 갔지요. 내가 있던 창고에 불이 나면서 경찰이 나를 발견해 시립박물관에 맡긴 것이오.
새집을 찾게 된 나는 오랫동안 박물관의 마스코트처럼 좋은 자리에 전시됐소. 매머드 상아는 한국에선 보기 드문 유물이거든. 2004년까지 누구나 볼 수 있도록 전시됐는데, 부식되기 시작하면서 지금은 수장고로 들어갔지요. 지금도 나를 추억하는 나이 드신 인천시민은 박물관 데스크에서 내가 어디에 있느냐고 묻곤 한답니다. 실은 이번 기획특별전에 전시된 나는 지난해 박물관이 복제한 복제품이라오. 진짜 나는 보존 처리돼 수장고에 있어요.
■ 중국 청동 향로와 철제 범종들
“중국에서 공출해 부평으로… 하마터면 무기 될뻔”
캠프마켓서 발견된 큰 덩치 범종 삼형제 야외 전시
인천시립박물관 야외 전시장에 놓인 송대, 원대, 명대 철제 범종. 시립박물관 기획특별전의 핵심 유물이나, 규모가 워낙 커서 전시장에 들이지 못했다. 2025.7.4 /박경호기자 pkhh@kyeongin.com
나는 17세기 청나라 때 중국에서 만들어진 청동 향로입니다. 이렇게 큰 향로 어디서 봤습니까. 이 전시실이 비좁다 보니, 나보다 훨씬 크고 오래된 송나라, 원나라(1298년), 명나라(1638년) 때 철제 범종 삼형제는 박물관 야외 전시장에 서 있습니다. 철제 범종 3개 가운데 가장 큰 것이 높이만 2.5m, 직경은 1.5m에 달합니다.
이경성(1919~2009) 초대 시립박물관장이 부평 일본육군조병창(현 캠프마켓)에서 나와 범종 삼형제를 발견했습니다. 조병창은 일본군의 대규모 군수공장이었습니다. 일본군은 멀리 중국에서 나를 강제로 공출해 부평으로 옮겨왔습니다. 나를 녹여서 무기로 만드려고요. 하마터면 무기가 돼 전쟁터로 내몰릴 뻔했습니다. 나 또한 일본이 패망하면서 그대로 조병창에 방치됐습니다. 본래 중국 소유지만 일본군에게 빼앗겼다가 다시 한국의 인천에 남겨졌으니, 이보다 기구한 사연이 있을까요.
■ 러시아 추앙받는 바랴크호 깃발
“전리품서 신분 역전…러시아로 순회 전시 다녔죠”
러일전쟁 패배 침몰한 전함 노·포탄피와 공동생활
인천시립박물관 기획특별전 ‘우리 박물관의 기구한 손님들’에 전시된 바랴크호 깃발. 2025.7.4 /박경호기자 pkhh@kyeongin.com
나로 말할 것 같으면 러시아에서 영웅으로 대접받는 바랴크호 깃발입니다. 러시아 영웅은 또 왜 인천에 머물고 있느냐고요? 나는 본래 러시아 순양함 ‘바랴크호’에 꽂힌 가로 2.5m, 세로 2m 크기의 깃발이었습니다. 러일전쟁의 첫 전투(제물포해전)가 1904년 2월 인천 제물포 앞바다에서 일어났죠. 당시 러시아 군함 카레예츠호와 바랴크호가 영흥도와 무의도 일대에서 일본 군함 14척과 교전을 벌이다 패했습니다. 러시아군은 일본군에 항복하지 않고 바랴크호를 비롯한 자국 군함과 상선을 스스로 침몰시켰어요.
일본군이 나를 건져 자유공원 인근 인천향토관에 전시하다 해방 이후 시립박물관으로 옮겨졌습니다. 전함에서 쓰던 노와 포탄피도 함께 박물관으로 왔죠. 일제강점기에는 일본의 전리품에 불과했는데, 해방 이후엔 신분이 역전됐습니다. 러시아에서는 지난 2010년부터 2014년까지 시립박물관으로부터 나를 임차해 자국에서 순회 전시를 열었습니다. 물론 한국 입장에선 앞마당을 다른 나라의 전쟁터로 내어 줄 수밖에 없었던 아픈 역사이기도 합니다.
■ 북관대첩비 탁본
“대첩비, 야스쿠니신사에 갇혀 100년간 화나는 삶”
日로 반출될때 뜬 탁본… 비석은 길주로 돌아가
인천시립박물관 기획특별전 ‘우리 박물관의 기구한 손님들’에 전시된 북관대첩비 탁본. 2025.7.4 /박경호기자 pkhh@kyeongin.com
내 경우는 앞선 유물들과 정반대네요. 나는 함경도 길주 ‘북관대첩비’(北關大捷碑)의 탁본입니다. 북관대첩비는 임진왜란 때 함경북도 북평사였던 정문부(1565~1624) 장군이 의병을 모아 가토 기요마사(1562~1611)가 이끄는 왜군을 물리친 공을 기려 1709년 숙종 때 세운 전승비입니다. 1905년 러일전쟁 때 일본이 일본군의 사기 저하를 우려해 비석을 철거하고 일본으로 반출했습니다. 북관대첩비는 일본 군국주의의 상징인 야스쿠니신사에 100여년 동안 갇혀 있었죠. 참으로 화가 나는 일입니다.
다행히도 한국 정부의 반환 요구로 2005년 10월 북관대첩비는 우리 품으로 돌아왔습니다. 비석은 그해 국립중앙박물관,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전시됐다가 이듬해 3월 다시 길주(현 북한 김책시)로 귀향했습니다. 나는 러일전쟁 당시 비석이 일본으로 반출될 때 뜬 탁본입니다. 결국 비석은 길주로 돌아갔고, 탁본인 나는 남아서 인천에서 시민들을 만나고 있네요.
■ 한국 근현대사 집약된 박물관
“이경성 초대 관장이 해방 직후 자유공원옆 조성… 내년엔 80살이라구”
인천시립박물관 기획특별전 ‘우리 박물관의 기구한 손님들’ 전시장 모습. /인천시립박물관 제공
에헴, 나는 자네들을 품고 있는 시립박물관이라네. 우리나라 최초의 공립박물관인 만큼 나도 사연이 많지. 이경성 초대 관장께서 해방 직후인 1946년 4월 자유공원 옆 근사한 서양식 건축물이었던 세창양행 사택(인천향토관)을 시립박물관으로 조성했지. 철제 범종을 비롯한 다양한 유물을 수집하기도 했고.
안타깝게도 나는 한국전쟁 때 폭격으로 산산이 부서졌고, 1953년에야 인근에 있는 제물포구락부로 옮길 수 있었다네. 이경성 관장이 유물을 안전하게 옮겨 놓은 덕분에 대부분 유물은 자네들처럼 온전하게 남을 수 있었지. 1990년 5월 지금의 옥련동에 번듯한 현대식 건물을 짓고 이사했고, 내년이면 벌써 내가 태어난 지 80년이 되는 해라네.
자네들의 사연을 쭉 들어보니, 근현대사 속 인천은 참 파란만장한 도시였구려. 매머드 어금니, 중국 철제 범종, 러시아 군함 깃발까지 별의별 유물들이 다 있는 그 자체가 바로 다른 도시와는 다른 인천의 특성이라 할 수 있다는 것이지. 자네들이야말로 인천과 한국, 동아시아가 걸어온 곡절 많은 역사의 증거라네. 자, 이제 개관 시간이 다 됐네. 마침 여름 방학이 찾아와 학생들도 많이 방문할 텐데, 자네들의 사연으로 이 도시의 역사를 잘 설명해 보게나. 이제 박물관의 문을 열겠네.
※ 인천시립박물관 기획특별전 ‘우리 박물관의 기구한 손님들’ 현장 취재와 자료 조사를 바탕으로 이야기 형식으로 재구성한 기사입니다.
/박경호 기자 pkhh@kyeongin.co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