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랙잭하는법 ㈒ 0.ruq934.top ㈒ 무료슬롯머신777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작성일25-03-06 02:22 조회138회 댓글0건관련링크
-
http://71.rnz845.top 116회 연결
-
http://68.rau798.top 114회 연결
본문
【89.rqc997.top】
릴게임야마토알라딘먹튀빠찡코야마토게임 방법
일본경륜 무료온라인게임 슬롯머신 이기는 방법 파라 다이스 오션 황금성3 인터넷릴게임 온라인릴게임 먹튀 검증 온라인 손오공 릴게임 인터넷야마토게임 야마토게임 무료 다운 받기 신천지릴게임 빠칭코게임다운로드 릴황금성 파칭코 바다이야기규칙 일본 파칭코 바다이야기PC버전 야마토3게임 야마토게임 다빈치무료릴게임 적토마게임 파칭코슬롯 오리지널황금성 황금성포커게임 릴게임안전사이트 알라딘 바다이야기PC버전 신천지 알라딘게임다운 황금성온라인주소 10원야마토게임 황금성다운 야마토5게임방법 바다이야기다운로드 야마토2게임동영상 슬롯버그 인터넷황금성 릴게임 사이트 도메인 다빈치게임 PC 슬롯 머신 게임 게임바둑이추천 무료황금성 바다이야기apk 황금성3게임공략법 모바일릴게임사이트 다모아릴게임 황금성공략법 황금성3게임연타 황금성 슬롯 바다이야기시즌5 바다이야기게임하는곳 카지노 슬롯머신 전략 슬롯 릴 게임 신천지 황금성어플 바다이야기게임공략방법 오리 지날황금성 온라인릴게임먹튀검증 오락실릴게임 바다이야기 파칭코 바다슬롯 먹튀 신천지릴게임장주소 최신야마토 슬롯 무료체험 바다게임사이트 오션파라다이스 게임 신규 릴게임 슬롯게임 실시간 오션파라다이스3 바다이야기pc게임 슬롯버프 야마토게임 기 슬롯머신 하는법 온라인슬롯사이트 손오공게임다운 슬롯사이트 순위 야마토5게임방법 릴게임종류 일본빠찡코 릴게임뽀빠이 온라인 야마토 게임 야마토카지노 창공릴게임 슬롯머신 확률 바다이야기 시즌7 슬롯머신 무료체험 오리지날황금성9게임 다모아릴게임 바다게임사이트 야마토게임 다운로드 바다게임 백경 슬롯게임 바다이야기 무료머니 황금성게임앱 오션파라 다이스게임 하는법 슬롯머신 종류 체리게임바둑이 오리 지날야마토2게임 황금성 사이트 무료충전바다이야기 신천지게임 하는곳 온라인 슬롯 공략 전함야마토 야마토 온라인삼국지 바다이야기 슬롯 무료머니릴게임 야마토2게임동영상 하이클래스릴게임 파칭코게임 온라인빠찡고 신규릴게임 모바일 바다이야기 스톰게임 오션파라다이스7하는곳 유희왕황금성 알라딘게임랜드 무료슬롯 바다이야기pc버전다운 져스트릴게임 황금성매장 인터넷바다이야기게임 바다이야기동영상 알라딘 릴게임 지난달 27일 대구시 달성군에 있는 대동 대구 공장 생산 라인에서 근로자들이 북미 인기 모델 'CK2620' 트랙터를 조립하고 있다. 대구 공장에서는 연간 3만여대의 트랙터를 생산한다. 대동 제공
지난달 27일 대구시 달성군 논공읍에 위치한 국내 농업기계 1위 업체 대동 본사 1층 쇼룸에 들어서니 레드향 색감의 수출용 트랙터가 귀여운 자태를 뽐냈다. 국내에서는 '대동(daedong)' 브랜드를 달고 판매하지만 해외에서 대동 제품은 '카이오티(KIOTI)'로 통한다. 세계 최대 농기계 업체이자 경쟁자인 미국 존디어를 상징하는 동물 사슴을 잡아먹겠다는 의미를 담아 수출용 브랜드에 코요테를 일부러 넣은 것이다. 쇼룸에는 1964년 국내 최초로 생산한 디젤 신한은행일반전세자금대출 엔진과 1968년 양산한 초기 트랙터 등 78년 대동의 역사를 한눈에 살필 수 있는 제품이 가득했다.
약 8만평 규모의 공장에서 가장 먼저 들른 곳은 대동인의 자부심이 녹아 있는 엔진 생산동이었다. 해외에서 독점하는 일부 센서 외에 대동이 만드는 엔진에 들어가는 모든 부품은 국산화해 자체 생산 중이다. 대동그룹 계열사가 합심해 가공에서부 크레딧뱅크 무료신용조회 터 조립, 생산까지 수직 계열화를 이룬 덕분이다. 대동 국내고객서비스팀에 근무하는 이정식 기좌(技佐)는 “대륙별 배기가스 규제 인증을 획득한 대동의 다기통 엔진은 농업 장비뿐 아니라 건설, 소방, 선박, 방위 등 다양한 산업 장비에 접목 가능한 수준으로 발전했다”면서 “국내에서 디젤 엔진을 자체 제작할 수 있는 업체는 5개 미만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국내 사금융채무통합 경쟁사인 TYM과 LS엠트론도 해외에서 엔진을 주로 수입해 트랙터에 장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기좌는 “우리 기술로 만든다는 자신감이 있기 때문에 엔진과 미션 무상 품질보증 10년이 가능한 것”이라며 “10년 무상 보증은 전 세계 농기계 업체를 통틀어 대동이 유일하다”고 강조했다.
4대보험가입확인증빙서 엔진에 들어가는 부품을 가공하는 라인 한편에는 아프리카와 케냐, 캐나다 등지로 출고를 대기 중인 110마력 대형 트랙터가 줄지어 서 있었다. 트랙터는 자동차처럼 마력을 기준으로 대형-중형-중소형-소형으로 나뉜다. 지난 2021년 300억원의 개발비를 들여 만든 140마력 대형 트랙터는 대동의 자랑이자 기술력의 집합체다. 국내 농기계 회사 중 이 기 제갈량 종을 생산할 능력을 갖춘 곳은 대동뿐이다. 바퀴의 지름이 기자의 키(165cm)보다 큰 140마력 대형 트랙터에 탑승해 보니 불편할 것만 같던 트랙터가 갖고 있던 이미지가 한순간에 사라졌다. 앉아 있는 곳이 트랙터라는 느낌이 들지 않을 정도로 내부가 안락했고 요즘 자동차처럼 디지털화한 콕핏(운전석)이 고된 노동력을 필요로 하는 운전자를 배려한 느낌이 들었다.
봄과 가을 계절성 상품 중 하나인 이앙기는 봄을 앞두고 생산을 이미 끝낸 상태였다. 이 기좌는 “5500대 생산 능력을 갖춘 공장이지만 국내에서는 쌀을 먹지 않는 식습관이 굳어지면서 수요가 줄어 실제 생산은 500여대만 해뒀다”며 “비수기에는 하나의 라인에서 다른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대동은 국가마다 원하는 제품 제품규격과 계절별 수요가 달라 대구 공장을 다품종(70여종) 소량 생산 시스템으로 유연하게 라인을 운영하고 있다. 마지막 공정은 100여개가 넘는 빼곡한 정비 항목에 동그라미가 그려져야만 출고장으로 넘어가는 종합 검사였다. 엔지니어 여러 명을 배치해 출력과 승강, 주행, 도장, 작동 등을 중복으로 살피는 모습이 인상적이었다.
대동은 트랙터 외에 콤바인, 이앙기 등도 1960~1970년대 국내 최초로 보급한 업체로, 이곳 공장에서 전량 생산해 전 세계로 수출하고 있다. 포화에 다다른 내수로는 성장의 한계가 뚜렷해 수출을 공격적으로 확대한 결과 트랙터의 경우 국내와 해외 매출 비중이 3대 7로 벌어졌다. 이종순 대동 부사장은 농기계 산업군의 현재 기상도를 ‘흐림’이라고 진단했다. 그런데도 대동은 올해 별도 기준 9000억원대의 공격적인 매출 목표를 세웠다. 이 부사장은 “업황은 내년 연말까지 가야 바닥을 칠 것으로 본다”며 “올해는 환율 효과를 최대한 활용해 미국 시장 마케팅 비용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대동에게 올해는 그동안 쌓은 역량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성과를 입증하고 농업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는 중요한 해다. 그 중심에 농업의 무인화, 농기계의 로봇화가 자리한다. 지난해 업계 최초로 선보인 4.5단계 온디바이스 트랙터는 시작을 알리는 상징적인 모델이다. 이 기좌는 “내년 1월에는 레벨 4를 충족하는 자율주행 트랙터를 양산할 계획”이라며 “사람이 타지 않은 상태에서 트랙터가 스스로 농작지를 인식해 작업하는 시대가 머지않아 열릴 것”이라고 말했다.
“농기계 분야의 현대차로 성장한 자긍심 커… AI 기반 정밀농업 추진할 것”
이종순 대동 부사장
1947년 경남 진주에서 창업주 고(故) 김삼만 회장이 대동공업 이름으로 설립한 대동은 2027년이면 창립 80주년을 맞는 업력이 긴 중견기업이다. 서울대 졸업 후 1990년 1월 대동에 입사해 36년째 근속 중인 이종순(사진) 대동 부사장은 회사 역사의 산증인과 같다. 지난달 27일 대구시 달성군 소재 대동 본사에서 만난 이 부사장은 지난 세월을 돌이켰을 때 가장 기억에 남는 순간으로 코로나19 팬데믹 당시의 역발상 경영을 단숨에 꼽았다. 그는 "국내외 공급망이 무너져 모두가 절망할 때 경쟁사는 판매 물량을 줄였지만 우리는 저렴하게 트랙터를 공급했더니 2021년 처음으로 매출 1조원 클럽의 고지를 밟게 됐다"면서 "대면 접촉이 줄어든 사람들이 어떤 삶을 원할까 생각하니 도시농업 형태의 탈도시화가 떠올랐고 보수적으로 잡았던 사업 계획을 다른 방향으로 과감히 틀었던 게 주효했다"고 말했다.
엔지니어 출신인 이 부사장은 1990년대 후반을 떠올리면 아직도 아찔하다. 미국에 자체 생산한 엔진을 호기롭게 수출하려다 결함을 발견해 선적을 무기한 미뤄야 했던 것. 김 부사장은 "총책임자로서 두 달여를 밤새워 원인을 찾았고 늦게나마 수출했던 순간을 잊을 수가 없다"고 전했다.
대동은 해방 직후 농촌 출신 창업주가 국민의 배고픔을 해결해야 한다는 일념 아래 농기계 관련 사업을 시작하면서 탄생한 기업이다. 농업 기계화를 통한 사업보국을 기치로 우리 근대화 역사와 궤를 같이한 셈이다. 그런 대동은 더는 내수 기업이 아니다. 대동의 가장 큰 수출 시장은 미국으로 지난해 북미 트랙터 시장 점유율은 8.7%(현금·융자 포함)를 기록했다. 김 부사장은 "2~3년 내 점유율 10% 벽을 돌파하는 게 목표"라며 "현대자동차의 미국 시장 점유율이 11% 안팎인데 '농기계 업종에서의 현대차'라는 자긍심이 있다"고 했다. 다음으로 주력하는 시장은 유럽이다. 단기적으로는 3%대, 장기적으로는 5~7%의 점유율 확보를 목표로 조직과 제품군을 현지 맞춤형으로 확대하고 있다.
대동의 매출은 트랙터를 중심으로 한 농기계 쪽에서 대부분 발생하지만 지향점은 정밀농업 등 인공지능(AI) 기반의 미래농업에 찍혀 있다. 이 부사장은 "올해부터 소형 트랙터에도 텔레매틱스 장치를 달아 공급할 예정"이라며 "가격과 품질만으로 접근하는 데 한계가 있어 소비자 패턴을 AI로 분석해 가장 경제적인 제품을 추천하는 식의 차별화된 플랫폼 비즈니스를 준비 중"이라고 설명했다. 수출용 제품에 텔레매틱스 서비스를 하는 기업은 대동이 유일하다. AI 딥러닝 기반의 정밀농업 시대를 선도하는 게 대동의 또 다른 목표다. 이 부사장은 "궁극적으로 자율주행 농기계로 인간의 노동력을 대체하고 토양 분석 데이터를 토대로 이앙하며 적절한 비료를 공급하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며 "농사가 노동집약형 산업이 아니라 정밀농업으로 발전해 농사가 할 만한 업이라는 걸 각인시키겠다"고 강조했다.
지방에 있는 중견기업으로서 갖는 큰 애로는 역시 인력난이다. 이 부사장은 "근방에서 엔지니어가 완제품 생산을 경험할 수 있는 규모 있는 기업이 대동뿐이라서 최대한 인력 유출을 방어하려고 하지만 대기업인 현대차나 HD현대중공업으로 이직하는 사례가 많다"고 토로했다.
대구=김혜원 기자 kime@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릴게임야마토알라딘먹튀빠찡코야마토게임 방법
릴게임추천사이트 ㆆ 17.rqc997.top ㆆ 릴게임 사이트 도메인
릴게임5만릴짱 ㆆ 24.rqc997.top ㆆ 성인릴게임
야마토3게임 ㆆ 55.rqc997.top ㆆ 신천지사이트
파친코게임 ㆆ 7.rqc997.top ㆆ 체리마스터 pc용
일본경륜 무료온라인게임 슬롯머신 이기는 방법 파라 다이스 오션 황금성3 인터넷릴게임 온라인릴게임 먹튀 검증 온라인 손오공 릴게임 인터넷야마토게임 야마토게임 무료 다운 받기 신천지릴게임 빠칭코게임다운로드 릴황금성 파칭코 바다이야기규칙 일본 파칭코 바다이야기PC버전 야마토3게임 야마토게임 다빈치무료릴게임 적토마게임 파칭코슬롯 오리지널황금성 황금성포커게임 릴게임안전사이트 알라딘 바다이야기PC버전 신천지 알라딘게임다운 황금성온라인주소 10원야마토게임 황금성다운 야마토5게임방법 바다이야기다운로드 야마토2게임동영상 슬롯버그 인터넷황금성 릴게임 사이트 도메인 다빈치게임 PC 슬롯 머신 게임 게임바둑이추천 무료황금성 바다이야기apk 황금성3게임공략법 모바일릴게임사이트 다모아릴게임 황금성공략법 황금성3게임연타 황금성 슬롯 바다이야기시즌5 바다이야기게임하는곳 카지노 슬롯머신 전략 슬롯 릴 게임 신천지 황금성어플 바다이야기게임공략방법 오리 지날황금성 온라인릴게임먹튀검증 오락실릴게임 바다이야기 파칭코 바다슬롯 먹튀 신천지릴게임장주소 최신야마토 슬롯 무료체험 바다게임사이트 오션파라다이스 게임 신규 릴게임 슬롯게임 실시간 오션파라다이스3 바다이야기pc게임 슬롯버프 야마토게임 기 슬롯머신 하는법 온라인슬롯사이트 손오공게임다운 슬롯사이트 순위 야마토5게임방법 릴게임종류 일본빠찡코 릴게임뽀빠이 온라인 야마토 게임 야마토카지노 창공릴게임 슬롯머신 확률 바다이야기 시즌7 슬롯머신 무료체험 오리지날황금성9게임 다모아릴게임 바다게임사이트 야마토게임 다운로드 바다게임 백경 슬롯게임 바다이야기 무료머니 황금성게임앱 오션파라 다이스게임 하는법 슬롯머신 종류 체리게임바둑이 오리 지날야마토2게임 황금성 사이트 무료충전바다이야기 신천지게임 하는곳 온라인 슬롯 공략 전함야마토 야마토 온라인삼국지 바다이야기 슬롯 무료머니릴게임 야마토2게임동영상 하이클래스릴게임 파칭코게임 온라인빠찡고 신규릴게임 모바일 바다이야기 스톰게임 오션파라다이스7하는곳 유희왕황금성 알라딘게임랜드 무료슬롯 바다이야기pc버전다운 져스트릴게임 황금성매장 인터넷바다이야기게임 바다이야기동영상 알라딘 릴게임 지난달 27일 대구시 달성군에 있는 대동 대구 공장 생산 라인에서 근로자들이 북미 인기 모델 'CK2620' 트랙터를 조립하고 있다. 대구 공장에서는 연간 3만여대의 트랙터를 생산한다. 대동 제공
지난달 27일 대구시 달성군 논공읍에 위치한 국내 농업기계 1위 업체 대동 본사 1층 쇼룸에 들어서니 레드향 색감의 수출용 트랙터가 귀여운 자태를 뽐냈다. 국내에서는 '대동(daedong)' 브랜드를 달고 판매하지만 해외에서 대동 제품은 '카이오티(KIOTI)'로 통한다. 세계 최대 농기계 업체이자 경쟁자인 미국 존디어를 상징하는 동물 사슴을 잡아먹겠다는 의미를 담아 수출용 브랜드에 코요테를 일부러 넣은 것이다. 쇼룸에는 1964년 국내 최초로 생산한 디젤 신한은행일반전세자금대출 엔진과 1968년 양산한 초기 트랙터 등 78년 대동의 역사를 한눈에 살필 수 있는 제품이 가득했다.
약 8만평 규모의 공장에서 가장 먼저 들른 곳은 대동인의 자부심이 녹아 있는 엔진 생산동이었다. 해외에서 독점하는 일부 센서 외에 대동이 만드는 엔진에 들어가는 모든 부품은 국산화해 자체 생산 중이다. 대동그룹 계열사가 합심해 가공에서부 크레딧뱅크 무료신용조회 터 조립, 생산까지 수직 계열화를 이룬 덕분이다. 대동 국내고객서비스팀에 근무하는 이정식 기좌(技佐)는 “대륙별 배기가스 규제 인증을 획득한 대동의 다기통 엔진은 농업 장비뿐 아니라 건설, 소방, 선박, 방위 등 다양한 산업 장비에 접목 가능한 수준으로 발전했다”면서 “국내에서 디젤 엔진을 자체 제작할 수 있는 업체는 5개 미만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국내 사금융채무통합 경쟁사인 TYM과 LS엠트론도 해외에서 엔진을 주로 수입해 트랙터에 장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기좌는 “우리 기술로 만든다는 자신감이 있기 때문에 엔진과 미션 무상 품질보증 10년이 가능한 것”이라며 “10년 무상 보증은 전 세계 농기계 업체를 통틀어 대동이 유일하다”고 강조했다.
4대보험가입확인증빙서 엔진에 들어가는 부품을 가공하는 라인 한편에는 아프리카와 케냐, 캐나다 등지로 출고를 대기 중인 110마력 대형 트랙터가 줄지어 서 있었다. 트랙터는 자동차처럼 마력을 기준으로 대형-중형-중소형-소형으로 나뉜다. 지난 2021년 300억원의 개발비를 들여 만든 140마력 대형 트랙터는 대동의 자랑이자 기술력의 집합체다. 국내 농기계 회사 중 이 기 제갈량 종을 생산할 능력을 갖춘 곳은 대동뿐이다. 바퀴의 지름이 기자의 키(165cm)보다 큰 140마력 대형 트랙터에 탑승해 보니 불편할 것만 같던 트랙터가 갖고 있던 이미지가 한순간에 사라졌다. 앉아 있는 곳이 트랙터라는 느낌이 들지 않을 정도로 내부가 안락했고 요즘 자동차처럼 디지털화한 콕핏(운전석)이 고된 노동력을 필요로 하는 운전자를 배려한 느낌이 들었다.
봄과 가을 계절성 상품 중 하나인 이앙기는 봄을 앞두고 생산을 이미 끝낸 상태였다. 이 기좌는 “5500대 생산 능력을 갖춘 공장이지만 국내에서는 쌀을 먹지 않는 식습관이 굳어지면서 수요가 줄어 실제 생산은 500여대만 해뒀다”며 “비수기에는 하나의 라인에서 다른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대동은 국가마다 원하는 제품 제품규격과 계절별 수요가 달라 대구 공장을 다품종(70여종) 소량 생산 시스템으로 유연하게 라인을 운영하고 있다. 마지막 공정은 100여개가 넘는 빼곡한 정비 항목에 동그라미가 그려져야만 출고장으로 넘어가는 종합 검사였다. 엔지니어 여러 명을 배치해 출력과 승강, 주행, 도장, 작동 등을 중복으로 살피는 모습이 인상적이었다.
대동은 트랙터 외에 콤바인, 이앙기 등도 1960~1970년대 국내 최초로 보급한 업체로, 이곳 공장에서 전량 생산해 전 세계로 수출하고 있다. 포화에 다다른 내수로는 성장의 한계가 뚜렷해 수출을 공격적으로 확대한 결과 트랙터의 경우 국내와 해외 매출 비중이 3대 7로 벌어졌다. 이종순 대동 부사장은 농기계 산업군의 현재 기상도를 ‘흐림’이라고 진단했다. 그런데도 대동은 올해 별도 기준 9000억원대의 공격적인 매출 목표를 세웠다. 이 부사장은 “업황은 내년 연말까지 가야 바닥을 칠 것으로 본다”며 “올해는 환율 효과를 최대한 활용해 미국 시장 마케팅 비용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대동에게 올해는 그동안 쌓은 역량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성과를 입증하고 농업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는 중요한 해다. 그 중심에 농업의 무인화, 농기계의 로봇화가 자리한다. 지난해 업계 최초로 선보인 4.5단계 온디바이스 트랙터는 시작을 알리는 상징적인 모델이다. 이 기좌는 “내년 1월에는 레벨 4를 충족하는 자율주행 트랙터를 양산할 계획”이라며 “사람이 타지 않은 상태에서 트랙터가 스스로 농작지를 인식해 작업하는 시대가 머지않아 열릴 것”이라고 말했다.
“농기계 분야의 현대차로 성장한 자긍심 커… AI 기반 정밀농업 추진할 것”
이종순 대동 부사장
1947년 경남 진주에서 창업주 고(故) 김삼만 회장이 대동공업 이름으로 설립한 대동은 2027년이면 창립 80주년을 맞는 업력이 긴 중견기업이다. 서울대 졸업 후 1990년 1월 대동에 입사해 36년째 근속 중인 이종순(사진) 대동 부사장은 회사 역사의 산증인과 같다. 지난달 27일 대구시 달성군 소재 대동 본사에서 만난 이 부사장은 지난 세월을 돌이켰을 때 가장 기억에 남는 순간으로 코로나19 팬데믹 당시의 역발상 경영을 단숨에 꼽았다. 그는 "국내외 공급망이 무너져 모두가 절망할 때 경쟁사는 판매 물량을 줄였지만 우리는 저렴하게 트랙터를 공급했더니 2021년 처음으로 매출 1조원 클럽의 고지를 밟게 됐다"면서 "대면 접촉이 줄어든 사람들이 어떤 삶을 원할까 생각하니 도시농업 형태의 탈도시화가 떠올랐고 보수적으로 잡았던 사업 계획을 다른 방향으로 과감히 틀었던 게 주효했다"고 말했다.
엔지니어 출신인 이 부사장은 1990년대 후반을 떠올리면 아직도 아찔하다. 미국에 자체 생산한 엔진을 호기롭게 수출하려다 결함을 발견해 선적을 무기한 미뤄야 했던 것. 김 부사장은 "총책임자로서 두 달여를 밤새워 원인을 찾았고 늦게나마 수출했던 순간을 잊을 수가 없다"고 전했다.
대동은 해방 직후 농촌 출신 창업주가 국민의 배고픔을 해결해야 한다는 일념 아래 농기계 관련 사업을 시작하면서 탄생한 기업이다. 농업 기계화를 통한 사업보국을 기치로 우리 근대화 역사와 궤를 같이한 셈이다. 그런 대동은 더는 내수 기업이 아니다. 대동의 가장 큰 수출 시장은 미국으로 지난해 북미 트랙터 시장 점유율은 8.7%(현금·융자 포함)를 기록했다. 김 부사장은 "2~3년 내 점유율 10% 벽을 돌파하는 게 목표"라며 "현대자동차의 미국 시장 점유율이 11% 안팎인데 '농기계 업종에서의 현대차'라는 자긍심이 있다"고 했다. 다음으로 주력하는 시장은 유럽이다. 단기적으로는 3%대, 장기적으로는 5~7%의 점유율 확보를 목표로 조직과 제품군을 현지 맞춤형으로 확대하고 있다.
대동의 매출은 트랙터를 중심으로 한 농기계 쪽에서 대부분 발생하지만 지향점은 정밀농업 등 인공지능(AI) 기반의 미래농업에 찍혀 있다. 이 부사장은 "올해부터 소형 트랙터에도 텔레매틱스 장치를 달아 공급할 예정"이라며 "가격과 품질만으로 접근하는 데 한계가 있어 소비자 패턴을 AI로 분석해 가장 경제적인 제품을 추천하는 식의 차별화된 플랫폼 비즈니스를 준비 중"이라고 설명했다. 수출용 제품에 텔레매틱스 서비스를 하는 기업은 대동이 유일하다. AI 딥러닝 기반의 정밀농업 시대를 선도하는 게 대동의 또 다른 목표다. 이 부사장은 "궁극적으로 자율주행 농기계로 인간의 노동력을 대체하고 토양 분석 데이터를 토대로 이앙하며 적절한 비료를 공급하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며 "농사가 노동집약형 산업이 아니라 정밀농업으로 발전해 농사가 할 만한 업이라는 걸 각인시키겠다"고 강조했다.
지방에 있는 중견기업으로서 갖는 큰 애로는 역시 인력난이다. 이 부사장은 "근방에서 엔지니어가 완제품 생산을 경험할 수 있는 규모 있는 기업이 대동뿐이라서 최대한 인력 유출을 방어하려고 하지만 대기업인 현대차나 HD현대중공업으로 이직하는 사례가 많다"고 토로했다.
대구=김혜원 기자 kime@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